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보62

중국유학/생존법 - 대학교 2년 반 다니면서 깨달은 노트북+태블릿 위주 대학 강의 필기법 대학생활이나 강의 진행방식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던 1학년 1학기때는 원노트가 강의 필기용으로 적합하다는 얘기만 듣고 원노트에다가 주구장창 교수님이 하신 얘기와 피피티 내용 토씨 하나 틀리지 않고 타이핑으로 베끼는 방식으로 필기를 했다. 그렇게 1년동안 타자연습(...)을 하다가 2학년때쯤 되서야 이런 필기는 비효율적이란걸 깨닫게 되고, 3학년 개강 전 갤럭시탭을 구매하여 한 학기동안 노트북과 갤럭시탭을 병행하여 효과적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그래도 1학년때보단 그나마 효율적이게 필기를 작성한 방법을 공유하고자 한다. 노트북과 태블릿이 모두 있다는 전제하에 어떻게 필기를 하는건지 소개를 할것이기 때문에 먼저 아이패드(정확히 말하면 애플펜슬) 출시 후 탄생한 희대의 난제에 대해 얘기해보자. 대학 생활에서 아이패.. 2021. 1. 28.
드디어! 갤럭시탭에서도 카카오톡을 공식적으로 지원합니다! 유튜브에서 갤럭시탭 활용법 동영상을 찾아보면 항상 있는 댓글 내용이 바로 "카카오톡만 지원하면 완벽할텐데..." 나는 중국에서 생활하다보니 위챗을 주로 쓰는데다가 거의 노트북을 들고 외출하기 때문에 태블릿에서 메신저를 사용할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하지만, 태블릿을 주력 업무용 디바이스로 쓰는 경우도 많다보니 카카오톡 하나때문에 갤탭 포기하고 아이패드 사는 사람도 많은것같았다. 그런데! 영원히 업데이트되지 않을것같았던 카카오톡 갤럭시탭 동시 로그인이! 바로 오늘! 9.2 버전부터 지원하게 되었다! 한치의 고민도 없이 다운로드해준다. (비록 자주 쓰지는 않을거지만... 기능이야 많이 지원하면 할수록 좋으니까...힣) 카톡 로그인은 오랜만에 해본다. 마지막으로 로그인 했을때는 노란색 배경이었던것 같은데 언제.. 2021. 1. 26.
갤럭시탭으로 새해 다이어리 쓰기(2) - 2021년 불렛저널 초기 세팅, 그리고 불렛저널에 대한 고민 저번 글 보기: 갤럭시탭으로 새해 다이어리 쓰기(1) - 2020년 막바지에 열흘동안 불렛저널 써본 후기 갤럭시탭으로 새해 다이어리 쓰기(1) - 2020년 막바지에 열흘동안 불렛저널 써본 후기 왜 갑자기 불렛저널? 24/7 전자기기를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대학생이 된 이후로부터 디지털 플래너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있다. 구글 캘린더는 일정 관리 및 위클리 플래너 용도로, 마이크로소프 hexlog.tistory.com 보름간의 시행착오 끝에 최종 세팅이 끝난 나만의 2021년 불렛저널과, 새해가 된지 벌써 일주일이 넘은 지금까지 불렛저널을 작성해온 방식을 공유해보고자 한다. 참고로 본인은 머릿속에 aesthetic의 a도 찾아볼수 없는 슈퍼똥손이니 다꾸장인들의 솜씨를 배우고자 한다면 여기 말고 핀터레스트를.. 2021. 1. 8.
갤럭시탭으로 새해 다이어리 쓰기(1) - 2020년 막바지에 열흘동안 불렛저널 써본 후기 왜 갑자기 불렛저널? 24/7 전자기기를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대학생이 된 이후로부터 디지털 플래너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있다. 구글 캘린더는 일정 관리 및 위클리 플래너 용도로, 마이크로소프트 투두는 할일 관리 용도로 말이다. 하지만 디지털 플래너는 알림 기능, 막강한 동기화 등 기능으로 "시간 관리"에는 최적화되있지만, 기계화된 "관리"에 초점이 맞춰여 있다보니 "나"를 성찰하고 알아가는 수단으로써는 턱없이 부족했다. (묘사가 너무 추상적이지만 아무튼 뭐 그런뜻임) 이러한 부족함을 채우기 위해 다이어리같은 공간이 필요하다고 느껴졌다. (디지털 플래너와 아날로그 다이어리를 병행해서 사용하면 중복되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 싶었지만, 둘의 구체적인 역할 구분에 대해선 일단 써보면서 결정하기로.) 평범한 다이어.. 2020. 12. 28.
카카오톡 지갑 개설 후기: 도대체 무엇에 쓰는 물건이고 카카오톡을 열었다가 우연히 "안전하고 간편한 지갑을 만들어 보세요+" 라는 문구가 눈에 띄었다. 뭐지? 하고 찾아보니 카카오에서 신분증이랑 자격증을 보관하는 카카오톡 지갑이라는걸 출시했다고. 신분증이 카톡 안으로…카카오톡 지갑 출시 신분증이 카톡 안으로…카카오톡 지갑 출시, 노정동 기자, 산업 www.hankyung.com 패스(PASS) 모바일 운전면허증도 출시하자마자 바로 등록했던것처럼 이번에도 고민도 없이 바로 개설했다. (보안정책상 캡쳐가 안된다고 해서 사진은 없음.) 개설 과정은 너무나도 간단했다. 약관에 동의해주고, 본인 명의 휴대전화로 인증번호를 받은 후, 6자리 비밀번호를 설정해주면 끝. 음... 일단 지갑이 만들어졌다는 알림은 왔고, 다시 돌아가서 "지갑을 만들어 보세요" 버튼을 누르면 .. 2020. 12. 17.
핀트(Fint) & 카카오페이 부동산 투자로 3개월동안 돈 굴린 후기 지난 글: 인공지능 자산관리 파운트(fount) 앱 탈퇴 방법 (feat. 카카오톡 상담) 인공지능 자산관리 파운트(fount) 앱 탈퇴 방법 (feat. 카카오톡 상담) 중국에 들어가기 전, 1년동안 내 한국 통장에 잠자고 있을 한국돈을 불리기 위해 주식보다는 안전한 펀드나 분산투자 등에 대해 알아보던 중, 플레이스토어에 AI가 알아서 투자해주는 자산관리 hexlog.tistory.com 파운트를 탈퇴한 후 돈 굴리는 방법을 계속해서 찾아다녔고, 최종적으로 파운트와 비슷한 로보어드바이저 핀트(Fint)와 카카오페이 부동산 분산투자에 정착하여 현재까지 사용중. 핀트(Fint) - 투자 97일차 파운트와 비슷하게 내 투자 성향에 따라 인공지능이 알아서 돈을 주식, 원자재 등 금융상품에 투자해주는 서비스다... 2020. 12. 12.
갤럭시탭S7 삼성노트 원노트(OneNote)로 동기화하기 (실패함) 삼성노트가 대규모 업데이트를 하면서 pdf 불러오기, 페이지 나누기 등 기능을 추가한건 다들 널리 아는 사실. 이 외에도 갤럭시 노트20 삼성 공식 소개 페이지에 써있는 마이크로소프트 원노트와의 연동 기능이 많은 사용자들(특히 원노트 헤비유저)의 기대감을 불러왔었다. 이 기능 하나만 보고 갤럭시탭이나 노트를 구매한 사람도 있을 정도. 하지만 밑에 코딱지만한 글씨로 "2020년 11월부터 지원될 예정"이라고 써있는 함정이 숨어있었다. 나는 원노트를 자주 사용하긴 하지만 오로지 강의 필기용으로만 사용하기 때문에 솔직히 딱히 둘이 연동되는거에 별 관심이 없었다. 연동이 되든 말든 난 삼성노트 백업만 잘 작동하면 됨. 근데 얼마전 삼성노트 앱이 작은 업데이트를 거쳤더니 설정 창에 Microsoft OneNote.. 2020. 10. 24.
구글 폼 접속 안되는 중국에서 MikeCRM으로 온라인 설문조사하기 다들 아는 사실이지만 중국에서는 구글 번역기를 제외한 구글 서비스의 접속이 안된다. 구글 플레이든, 구글 캘린더든, 구글 드라이브든. 즉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온라인 설문조사 서비스인 구글 폼(Google Form) 역시 중국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구글-바이두, 트위터-웨이보, 유튜브-비리비리 등, GFW에 의해 막힌 사이트들은 항상 대체지가 있다. 구글 폼의 대체방안은 주로 원줸씽(问卷星)과 텐센트 설문조사(腾讯问卷) 두가지가 있는데, 전자는 철저한 실명인증 제도 때문에 중국 신분증 번호가 없으면 (즉 외국인은) 설문조사 제작이 불가능하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고, 후자는 UI만 예쁘지 multiple choice의 규칙 설정도 제대로 안되는 설문조사로써의 기본이 되있지 않은 모습이라 현재.. 2020. 9. 15.
중국 유학생이라면 누구든 가능한 애플뮤직 매월 900원(!)에 구독하기 (feat. 애플뮤직 안드로이드 앱 간단 리뷰) 안드로이드 유저가 애플뮤직을 사용하게 된 사연. 나는 왕이윈뮤직(网易云音乐, 이하 "왕이윈") 골수 사용자다. 최초 플레이리스트 생성날짜가 2014년 10월이니 사용한지 거의 6년 가까이 된 셈. 초창기의 왕이윈은 플레이리스트, 노래 댓글, 사용자의 음악 취향을 통해 자동으로 노래를 추천해주는 "개성 FM" 등 당시의 주류 음악 서비스에서는 볼 수 없었던 여러 신박한 기능들, 그리고 IT관련 사이트에서도 칭찬했을 정도로 중국 앱 답지 않게 깔끔하고 안드로이드 규범을 준수한 UI로 인기를 끌었다. 나 역시 학창시절에는 정말 애용하고(특히 개성 FM이 정말 귀신같이 내 음악 취향을 정확히 분석한 덕분에 띵곡들 여럿 접하게 되었다.) 주변에 적극 추천하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였다... 는 이제 전부 과거형이 .. 2020. 9. 12.
반응형